본문 바로가기
꿀팁 모음

명절 장거리 운전을 위한 간단한 체크 방법!

by 스마트파파 2023. 1. 14.
반응형

장거리 운전 시 필수 사항, 자동차 사전 점검 간단한 체크 방법!

 

이번 연휴는 작년과 다르게 사회적 거리 두기가 완전히 해제되어 교통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는데요, 차도 막히고 사고의 위험도 높이지는 상황에서 사고 방지를 위해 장거리 운전을 하기 전 자동차 상태를 꼭 점검하고 운전해야 합니다.

 

오늘은 장거리 운전 하기 전 자동차 사전 점검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장거리 운전 하기 전 자동차 필수 점검 사항

장거리 운전 사전점검
장거리 운전 간단한 체크 방법

 

명절 고속도로 이용이 많은 상황에서 교통량 증가로 인해 가다 서다를 반복하며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됩니다. 이때 각종 오일류와 냉각수 점검은 필수 사항 입니다.

 

또한 브레이크 오일, 엔진오일 양을 체크하여 부족한 경우 보충하고 워셔액도 점검하여 비 오는 날씨에 대비해야 합니다. 와이퍼도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거리 운전을 위해 타이어 마모 상태나 공기압 등을 미리 체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약의 사고에 대비해 보험회사의 긴급출동 서비스 연락처를 알아두고 비상신호판과 스프레이, 간단한 응급약품은 필수사항입니다.

 

 

엔진오일 점검

엔진오일은 자동차마다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주행거리 약 1만~2만 주기로 교체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운전상황에 따라 교체주기는 다릅니다. 주행을 많이 하는 차량이나 가혹조건(시내운전)으로 운행하는 차량은 5천~6천 정도가 되면 엔진오일 교환을 권장합니다.

 

만약 운행을 거의 하지 않고 장기 주차를 하신 경우라면 장거리 운행을 대비해 점검하고 교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냉각수 체크

냉각수는 MAX(최대)와 MIN(최소) 사이에 있어야 정상으로 그 이하라면 보충이 필요합니다. 냉각수는 보통 주행거리 4만 km마다 교체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냉각수 점검 시 엔진 과열되어 오버 히트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엔진이 다 식고 난 후에 점검하셔야 합니다!

 

엔진이 식은 후 뚜껑을 열어 냉각수를 보충해서 가득 채워줍니다. 보충 시 너무 많이 넣게 되면 끓어 넘칠 수 있으니 상한선까지만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체크

배터리는 3년을 주기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는 장거리 운전 시 전조등, 와이퍼 등의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면서 시동이 걸리지 않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점검이 필요합니다.

 

요즘 배터리에는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있습니다. 불빛 색이 녹색이면 정상, 검은색이면 충전 필요, 흰색은 교체 필요의 상태입니다. 불빛 색을 확인하여 주세요.

 

배터리는 2~3년 주기로 교체하는 것이 좋지만 사용 조건에 따라 수명에 차이가 있으니 배터리 상태에 따라 교체해 주세요.

 

교체 후 50,000km 이상을 주행했다면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브레이크 체크

브레이크는 페달을 밟았을 때 '삐 이익' 하는 소리가 난다면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었다는 소리이므로 교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보통 교체 주기는 약 3만 km 기준으로 권장하는데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평소보다 밀리거나 소리가 난다면 브레이크 패드를 점검해봐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 체크

안전과 직결되는 타이어는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장거리 운전을 할 때 타이어의 마모는 빠르게 진행되므로 출발 저 타이어 마모도와 공기압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타이어 마모가 심한 경우 비 오는 날씨에는 수막현상을 일으켜 사고 위험이 증가합니다.

 

타이어 평균 수명은 약 3만 km, 5년 주기로 교체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의 경우 고속 주행을 하기 위해서는 평소의 적정 공기압보다 15% 높여서 주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자주 이용하는 자동차 점검 센터에 방문해서 타이어 공기압을 체크하여 적정한 공기압을 주입해서 운행하세요.

 

 

이상으로 장거리 운전 하기 전 자동차 사전 점검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안전 운전하여 즐거운 명절 보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