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우리 가족

임금님도 아껴먹은 '3대 명약'

by 스마트파파 2022. 3. 11.
반응형

공진단·우황청심원과 더불어 ‘한방 3대 명약’으로 불리는 약이 있다.

바로 경옥고(瓊玉膏)다.


명절맞이 가족 친지 몸보신을 위해 한방 보약 양대산맥이라는 공진단(供辰丹)과 경옥고(瓊玉膏)를 구매한 이들이 많다. 두 약은 제형만 다른 보약처럼 보이기 쉬운데, 각각 '약발'이 잘 받는 사람은 따로 있다. 어떻게 복용하느냐에 따라 효과도 달라진다.

 

경옥고는 ‘붉은 구슬 같은 고약(끈끈한 약)’이란 뜻인데, 옛날 중국의 황제가 곤륜산(崑崙山)에서 나오는 꿀 같은 옥액을 늘 먹고 영생을 얻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경옥고 효과

 

동의보감에서는 경옥고의 효능을 "27년을 먹으면 360살을 살고 64년을 장기적으로 복용하게 되면 500살까지 살 수 있다"라고 하여 그만큼 약의 효과가 뛰어나고 좋음을 나타냈다. 경옥고는 오래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어 심장 간장 폐장 위장이 약한 사람은 장복 할수록 큰 효과를 보며, 손발이 저리고 시려서 찬 물에 손 넣기 어려운 사람은 소량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중풍 걸리고 병을 오래 앓은 사람에게도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육체적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
  • 선천적 허약체질인 사람
  • 갱년기 여성

동의보감은 경옥고의 효능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정(精)과 수(髓)를 늘려 주고, 진기를 고르게 하며, 원기를 보하여 늙은이를 젊어지게 한고 모든 허손증(虛損症-허약해서 오는 모든 질환)을 보하며, 온갖 병을 낫게 한다. 정신이 좋아지고, 오장(인체 장기)이 충실해지며, 흰머리가 다시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오며, 걸음걸이가 뛰는 말과 같이 빨라진다. 하루에 두어 번 먹으면 종일 배고프거나 목이 마르는 일이 없다."

이같은 효능을 체험한 조선시대 왕들은 경옥고를 매우 아꼈다고 한다.

 

 

경옥고 복용 및 보관법

아침에 일어나서 가능하면 공복에 환이나 액상의 형태로 경옥고를 한 개 먹어주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아침과 저녁, 이렇게 하루 두 번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쇠가 닿으면 좋지 않아 쇠로 된 숟가락이 아니라 나무로 된 숟가락을 이용하여 먹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경옥고는 환‧액상(진액)‧포 등 다양한 제형이 있습니다. 경옥고의 ‘고’는 것은 끈적거리는 액상 형태의 제제를 뜻합니다. 

하지만 원래의 제형인 고나 환은 현재 생활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경옥고를 좀 더 묽은 액상 형태로 만들어서 1회용 포로 개발해 휴대성을 용이하게 한 것입니다. 

이렇게 다른 경옥고 제형의 경우 제조법의 차이가 없으면 기본적으로 효능에도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제조법이 동일한지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경옥고 제형에 따른 효능의 차이가 객관적으로 규명된 연구결과는 없습니다. 

기존 진액 형태의 경옥고는 제조 후 단지 같은 용기에 담아서 복용하게 돼 있고, 주로 상온 또는 냉장 보관합니다. 포 형태는 주로 상온에 보관을 합니다. 아울러 경옥고 처방기간 내에 복용을 완료해야 약효 감소 및 변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경옥고 복용 시 주의사항

다른 약들과 마찬가지로 경옥고 역시 복용에 주의해야할 사람이 있다.

특히 경옥고의 주 성분인 생지황이 위장기능이 약한 사람들에게 소화장애?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흡연? 음주? 커피를 즐기는 사람의 경우 위장기능이 떨어져 제대로 된 약효를 보지 못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고혈압을 비롯한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병 등 대사질환이 있는 경우 주기적으로 혈압? 혈당을 확인해서 한약 처방이 질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