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우리 가족

더위 먹었을 때, 일사병 열사병 증상과 대처 방법!

by 스마트파파 2023. 6. 21.
반응형

올해는 어느 때보다 더울 것으로 기상청 예보가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폭염으로 온열질환 환자도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폭염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칙을 잘 따라야 합니다.

또한 한 여름 건강을 해치는 일사병과 열사병 차이점과 그에 따른 대처법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폭염 대처 수칙
더위 먹었을 때 증상과 대처 수칙

 

일사병과 열사병 차이점

 

일사병이란?

일사병은 여름철 몸 밖으로 열을 잘 배출하지 못하여 체온이 37~40도까지 올라가는 질환을 말하며,

 

일사병 증상 : 어지럼증, 두통, 구토, 복통, 탈수 증세 등

 

이 있습니다.

 

 

열사병이란?

열사병은 여름철 심부체온이 40도 이상 높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일사병과 달리 온도가 높고 밀폐된 곳에 오랫동안 있는 경우에 자주 발생합니다.

온도가 높은 밀폐 공간에서 무리하게 활동하면 열사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온열질환 증상

무더운 여름 더위 먹었을 때 증상을 빠르게 파악하여 신속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온열질환의 대표적인 증상 7가지를 확인하여 이와 같은 증상이 있을 경우 잘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1. 무기력증
  2. 두통, 현기증
  3. 메스꺼움, 구토
  4. 갈증
  5. 갑작스러운 졸음
  6. 잦은 소변
  7. 그 외 증상 : 근육 경련, 몸의 균형감각 상실, 몸살, 설사 등

폭염은 열사병, 열경련 등의 온열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여름철 전력 급증 등으로 생활의 불편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더위가 잦은 여름철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숙지하여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하세요.

 

 

폭염 대처법

 

여름철에는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무더위와 관련한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열사병 등 온열질환의 증상과 가까운 병원 연락처 등을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사전에 파악하고 어떻게 조치해야 하는지를 알아두면 좋습니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심혈관질환자 등 취약계층은 더위에 약하므로 건강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합니다.

 

폭염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수칙을 잘 따라야 합니다.

 

1. 충분한 수분 섭취

날씨가 더우면 땀을 통해 수분이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하루에 최소 2리터 이상의 물을 마셔야 합니다.

탄산음료나 커피, 알코올 등은 수분을 빼앗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피하는 게 좋습니다.

* 물 섭취시 주의할 점 : 한꺼번에 많은 땀을 흘렸을 때는 물만 마시면, 소금과 미네랄 성분이 부족해지면서 이상 증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소금과 미네랄 성분을 반드시 보충해서 물을 마셔야 안전합니다.

 

2. 가벼운 옷차림

무더운 여름에는 외부 온도에 의해 몸에 쌓인 열을 잘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성이 좋은 옷을 입거나

모자나 양산으로 햇빛으로 부터 보호하며 자외선 차단제를 잘 발라주는 게 좋습니다.

 

3. 식사와 운동

폭염에는 가벼운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온을 높이고 소화를 방해하는 지방이 많고 고열량의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온을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과일이나 채소를 섭취하는게 폭염에 체온을 낮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너무 과격하거 오랜 시간 운동을 하는 것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운동은 되도록 아침이나 저녁과 같이 시원한 시간대에 하도록 합니다.

 

4. 실내외 온도 조절

여름철 더위를 피하기 위해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이용하는데

에어컨의 온도는 실내외 온도차가 5도 이내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차가운 공기에 노출되면 오히려 면역력이 감소하거나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 건강 실내 냉방온도 : 26℃~28℃ ]

 

폭염에는 가능한 낮 12시~오후3시 사이에는 태양빛이 강하므로 실내에 머무르는 것이 좋습니다.

 

5. 폭염 증상 인지

폭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으로 탈수, 열경련, 열탈진, 열사병 등이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외 두통, 어지러움, 구토, 무의식, 발한, 근육통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그늘진 곳으로 옮기고, 찬 수건이나 얼음팩 등으로 몸을 식혀야 합니다.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되면 지체하지 말고 바로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폭염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안내해드렸습니다.

이러한 수칙을 따르면 폭염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쾌적한 여름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여름철 안전에 항상 주의하며 건강한 일상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