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분리수거를 할 때 깨진 유리나 우산 같은 경우 버리기 애매한 것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재활용 분리수거 꿀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활용인지 폐기물인지 가끔 헷갈리는 것들이 많은데요 환경을 걱정해 분리수거를 나름 잘한다고 생각하지만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재활용인 줄 알았다가 폐기물인 것도 있고 폐기물인 줄 알았지만 재활용이 되는 것들도 있는데요.
쓰레기도 분리만 잘하면 소중한 자원이 됩니다. 재활용품의 배출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재활용으로 분리수거해야 하는 품목
기본적으로 종이류, 헌 옷, 플라스틱류, 캔, 병, 유리용기류, 고철류, 스티로폼, 비닐류는 분리수거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재활용으로 분리수거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재활용으로 분리수거해야 하는 것들입니다.
종이류 : 신문지, 잡지, 서적, 상자, 종이팩(우유팩, 음료수 팩, 1회용 종이컵)
신문지 종류만 따로 모아 묶어서 버려야 하며 책의 경우 비닐코팅이 된 잡지류 표지는 따로 잘라서 버려야 합니다.
상자의 경우 택배 스티커나 종이 외의 이물질은 따로 제거 후 버려야 합니다.
우유팩이나 종이컵은 내용물을 비우고 한번 행군 후 배출합니다.
플라스틱류 : 페트병, 요구르트병, 샴푸, 세제용기, 바구니 등
플라스틱의 대표적인 물건은 페트병일 텐데요. 뚜껑을 제거하고 내용물을 비운 후 물로 한번 행군 뒤 배출합니다.
여기서 알루미늄 뚜껑은 고철로 분리됩니다. 가능하면 압축하여 부피를 축소해서 버리는 게 좋다고 합니다.
캔 류 : 맥주캔, 통조림 캔, 분유통, 과자통, 부탄가스통, 살충제 통 등
캔류는 플라스틱 병처럼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행군 후 압축하여 버립니다.
부탄가스, 살충제, 에어로졸은 병 몸통에 구멍을 뚫어 내용물을 비운 후 배출합니다.
유리, 유리용기류 : 맥주병, 소주병, 약병 등
플라스틱 같은 뚜껑은 제거한 후 배출합니다. 병 속에 담배꽁초나 남은 내용물 등을 제거한 후에 버립니다.
맥주병이나 소주병 등은 슈퍼나 상점에서 40~50원 정도에 팔 수 있으니까 버리는 거보다 파는 게 좋아요!
유리 중에서도 분리수거가 안 되는 경우들이 많은데요. 재활용이 안 되는 것들은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고철류 : 철사, 구리, 알루미늄 새시, 스탠 류, 철판 등
식기류, 공구류에 있는 플라스틱과 고무 등 고철 외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함께 버립니다.
페인트, 오일 통처럼 유해물질 포장 통과 폐유 용기는 재활용이 어려우므로 일반쓰레기로 버립니다.
스티로폼
스트리폼 외의 스티커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투명 비닐 속에 넣거나 묶어서 배출합니다. 과일상자, 생선상자는 잔재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어 버립니다.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할 의외의 것들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는 용기류
미 세척된 컵라면 용기류와 치킨 상자 속 기름종이, 음식물이 제거되지 않은 케첩통, 기름통, 마요네즈 등은 재활용이 되지 않아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분리수거해서 버릴 경우 안에 내용물을 제대로 씻고 말려야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도자기류, 보온 보냉팩, 문구류, 칫솔, 고무장갑, 슬리퍼, 노끈 등
위 물건들은 분리수거 대상 같지만 의외로 재활용 대상이 아닙니다.
다른 재질과 혼합되어 있는 경우는 재활용 대상이 안되기 때문에 일반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유리류는 어떤 게 재활용 대상일까요? 깨진 유리병은?
유리병은 배출할 때 안의 내용물을 다 버리고 한번 행군 후 버려야 합니다. 그런데 유리이긴 하지만 재활용으로 해당 안 되는 유리도 있습니다.
투명한 유리병이 아닌 색이 들어간 유리병은 재활용이 안됩니다.
또 깨진 유리, 형광등도 재활용되지 않아 신문지에 잘 감싼 후 일반 종량제 봉투에 함께 버리는 게 좋습니다.
'꿀팁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X 반값, 숙박 5만원 할인, 항공권 할인 받고 여행 가자! '2022 여행가는달' (0) | 2022.06.01 |
---|---|
오늘 지급 개시!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신청방법, 지원대상, Q&A까지 모든 것 안내드려요! (0) | 2022.05.30 |
냉장고 냄새 탈취제 말고 좋은 방법 없을까? 냉장고 냄새 제거하는 꿀팁! (0) | 2022.05.28 |
유통기한 지난 밀가루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유통기한 지난 밀가루 활용 꿀팁! (0) | 2022.05.28 |
7월 재산세 납부 방법과 할인 혜택 받는 꿀팁! (0) | 2022.05.27 |
댓글